해외여행 중 면세점에서 주류를 구매하거나 기념품으로 술을 가져오고 싶을 때, '비행기에서 반입 가능한 용량이 얼마나 될까?'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기내 반입은 용량과 알코올 도수에 따라 제한이 있고, 체크인 수하물과 기내 반입 규정도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준비하는 게 중요해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항공편 주류 반입 규정을 용량, 도수, 면세 범위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기내 반입 가능한 주류 기준
기내에 술을 직접 들고 타는 건 가능하지만, 몇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해요. 우선 ‘용량’과 ‘도수’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에요. 국제선이든 국내선이든, 대부분의 항공사가 이 조건을 따라요.
항공보안법상 액체류는 100ml 이하만 기내 반입이 가능하지만, ‘면세점 주류’는 예외로 허용돼요. 대신 밀봉된 상태로, 투명 봉투에 봉인 태그가 붙어 있어야 해요.
직접 구매한 술을 기내용 가방에 넣고 보안검색대를 통과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요. 이 점 반드시 기억하세요.
반입 가능한 용량과 도수
2025년 국제선 기준으로 주류 반입 가능 범위는 다음과 같아요:
- 도수 24% 이하: 용량 제한 없음 (수하물 기준)
- 도수 24%~70%: 5리터 이하 반입 가능 (1인 기준)
- 도수 70% 초과: 기내 반입 및 수하물 모두 금지
즉, 위스키나 보드카처럼 도수가 40~50%인 주류는 5리터 이하까지만 기내 또는 수하물로 반입이 가능해요. 이마저도 공항 보안기준과 항공사 규정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어요.
면세점 주류 반입 규정
면세점에서 구매한 술은 예외적으로 100ml 초과해도 기내 반입이 가능해요. 단, 조건이 있어요.
● 봉인된 투명 비닐백(SECURED STICKER SEAL)
● 영수증 부착
● 환승 시 개봉 금지
● 보안검색 시 별도 검사 대상 가능
대부분의 면세점에서는 1인당 1리터, 최대 3병까지 주류 구매가 가능하고, 이는 기내에 가지고 탈 수 있어요. 하지만 환승이 있을 경우 보안검색에서 압수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입국 시 세관 신고 기준
해외에서 술을 구입해 귀국할 때는 면세 한도를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초과분에 대해 세금이 부과될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대한민국 주류 면세 한도:
● 주류 1병 (1리터 이하, 400달러 이하)
● 19세 이상 성인 기준, 1인 1병 한정
● 초과 시 별도 세관 신고 필요
면세점을 통해 구매한 술이라도 2병 이상이면 1병만 면세, 나머지는 자진 신고해야 해요. 신고 없이 들여올 경우 과태료나 압수 대상이 될 수 있어요.
기내 반입 시 주의사항
주류를 기내에 들고 타더라도, 운송 중 파손 방지와 세관 문제를 대비해 안전하게 포장해야 해요. 또한 일부 항공사는 내부 규정상 반입 자체를 제한하기도 해요.
● 주류는 뚜껑이 밀봉된 상태여야 해요.
● 포장은 뾱뾱이, 보냉백, 종이 상자 등으로 이중포장 권장
● 좌석 머리 위 수납칸에 세워서 보관
● 파손 시 손해배상 불가 항목으로 처리됨
기내 반입보다 수하물로 보내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고, 규정을 초과하면 공항에서 압수되는 경우도 있어요.
기내에서 직접 마실 수 있을까?
기내에 주류를 들고 탑승한 경우, 이를 직접 마시는 것은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금지하고 있어요. 이는 승무원 통제권과 음주로 인한 사고 위험 때문이에요.
● 승무원 제공 주류만 음용 가능
● 개인 반입 술은 개봉 및 섭취 금지
● 위반 시 탑승 거부 또는 벌금 부과 가능
특히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일부 국가에서는 기내 음주로 인한 소란이 있을 경우 강제 하차 조치까지 받을 수 있어요. 반입은 가능하지만, 마시는 건 안 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FAQ
Q1. 기내에 소주 1병 들고 탈 수 있나요?
A1. 100ml를 초과하는 액체는 기내 반입이 안 돼요. 면세점에서 구매한 것이 아니라면 소주 1병도 기내 반입은 불가해요.
Q2. 면세점에서 산 위스키는 몇 병까지 반입 가능한가요?
A2. 1인당 1리터 이하 1병까지만 면세 대상이며, 3병까지는 보관 가능하지만 초과분은 세관 신고 후 세금을 내야 해요.
Q3. 술을 수하물에 넣으면 도수 제한 있나요?
A3. 네. 70%를 초과하는 고도수 술은 수하물에도 반입 금지예요. 24~70%는 최대 5리터까지 반입 가능해요.
Q4. 비행 중에 내 술 마시면 안 되나요?
A4. 대부분 항공사에서 금지하고 있어요. 승무원이 제공하는 주류만 기내에서 마실 수 있어요.
Q5. 술병은 어떻게 포장해서 가져가야 하나요?
A5. 뾱뾱이, 보냉팩, 술 전용 캐리어 등을 이용해 깨지지 않도록 이중 포장하는 게 좋아요.
Q6. 국내선도 주류 반입 제한이 있나요?
A6. 국내선은 국제선보다 규제가 덜하지만, 여전히 기내 액체류는 100ml 이하만 가능하므로 술도 마찬가지예요.
Q7. 도착지마다 규정이 다르나요?
A7. 네. 입국 국가마다 면세 한도와 반입 가능한 주류 기준이 달라요. 출국 전 대사관 또는 세관 홈페이지 확인이 필수예요.
Q8. 술 대신 와인은 더 많이 가져올 수 있나요?
A8. 와인도 주류로 분류돼 동일 기준이 적용돼요. 다만 도수가 낮아 수하물 반입에는 큰 제한이 없어요.
탄소중립포인트 제도, 진짜 돈 되는 녹색생활실천 방법
탄소중립포인트는 우리가 일상에서 전기, 수도, 온실가스 등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친환경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탄소 감축 행동을 했을 때, 그 실천에 대해 ‘보상’을 받는 제도예요.쉽게 말
trip.moneycared.com
어학 자격증 응시료, 공짜로 본다? 2025 지원 사업 총정리
어학 자격증 응시료, 공짜로 본다? 2025 지원 사업 총정리
📋 목차어학 자격증 응시료 지원이란?지원 대상과 신청 자격지원 가능한 어학 시험 종류신청 방법과 절차지원 금액과 횟수 제한유의사항 및 자주 발생하는 실수FAQ 어학 자격증 응시료 지원 사
trip.moneycared.com